배영 호흡법 잘하는 법 & 초보자를 위한 수영 꿀팁
배영을 처음에 쉽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배영 시작 첫날 물을 너무 많이 먹어서 배가 나올 정도였습니다. :(
수영 꿀팁 초보자를 위한 배영 잘하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
1. 배영 호흡법 기본
배영은 등을 대는 방식으로, 타 영법보다 호흡이 조금은 자유롭습니다. 장점은 얼굴이 물에 잠기지 않아 자연스럽게 숨을 쉴 수 있다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흡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물을 많이 먹습니다.
1.1. 배영 호흡의 원리
배영을 할 때, 머리를 물에 댄 상태에서 계속해서 몸을 흔들며 팔을 돌립니다. 호흡은 팔이 물 밖으로 나올 때 숨을 들이쉬고, 팔이 물속에 들어갈 때 숨을 내쉽니다. 호흡과 팔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편안한 배영이 됩니다.
1.2. 호흡 시 주의사항
배영에서 몸이 너무 기울어지거나 너무 낮게 놓이면 호흡이 힘들고, 수영이 불편해집니다. 몸은 가능한 수평을 유지하여야 효율적인 배영이 됩니다.
2. 배영 호흡법 잘하는 법
2.1. 머리의 위치와 시선
배영에서 머리의 위치는 중요합니다. 얼굴은 물에 잠기지 않도록 시선을 약간 아래쪽(15도 아래로)을 바라보는 것도 좋습니다.. 머리를 너무 뒤로 젖히지 않도록 합니다. 수평선 또는 천장을 바라봅니다. 머리를 너무 높이 들지 않도록 하고, 물에 부드럽게 뜨도록 몸의 힘을 뺍니다.
2.2. 팔의 리듬에 맞춰 호흡
배영에서는 팔을 돌리며 호흡을 하는데, 팔이 물 밖으로 나올 때마다, 머리의 위치를 조금 들어 올려 자연스럽게 숨을 들이마시고, 팔이 물속에 들어갈 때는 숨을 내쉽니다. 처음에는 팔의 리듬에 맞춰 호흡을 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2.3. 편안한 호흡 연습
배영은 호흡이 다른 영법보다 조금은 자유롭습니다. 처음에는 호흡이 불규칙해질 수 있는데, 평소처럼 깊게 천천히 호흡하는 연습을 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코로 숨을 들이마시면 안 됩니다. 숨을 들이마실 때는 무조건 입을 사용합니다. 배영 수영 꿀팁은 코로 내쉬고 입으로 들이마시고를 팔동작과 연결하여 지상에서 연습합니다.
3. 초보자를 위한 수영 꿀팁
3.1. 기본자세 유지
초보자 수영자께 가장 중요한 점은 기본자세입니다. 몸의 힘을 빼고 경직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지속적으로 균형을 잡는 연습을 합니다. 다리의 움직임도 중요한데 너무 강하거나 약하게 차지 않도록 합니다.
3.2. 다리 차기 연습
배영에서 다리 차기는 중요합니다. 다리 차기는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수영 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다리는 수면에서 너무 내려가서도 안 되고, 너무 올라와서 물거품을 많이 내며 차지 않도록 합니다. 수영 꿀팁 다리는 항상 수평선과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하도록 노력합니다.
3.3 수영 장비 활용하기
초보자는 수영 보드나 킥보드를 사용하여 다리 차기 연습을 합니다. 다리 차기에 집중하여 상체의 부담을 덜어줍니다.
3.4. 꾸준한 연습
지속적이고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배영 호흡법이 어렵고, 몸의 균형을 잡기 힘들 수 있으며 자유형보다 속도가 늦습니다. 인내심을 갖고 꾸준한 연습을 필요로 합니다.
4. 후기
처음 배영을 접할 때는 쉬운 느낌이지만 막상 실전에서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누워서 하는 호흡인데 생각보다 물을 많이 먹을 수 있고, 발차기 동작도 내 의지대로 되지 않습니다. 배영 호흡법이 힘들 때는 자유형과 배영을 번갈아 가면서 합니다. 지루함 없이 수영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수영 자유형 호흡 기초 4단계 타이밍 & 숨쉬기 잘하는 방법
⬇️⬇️⬇️
'2. 운동 > 수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 생존수영 교육 & 꼭 배워야 하는 이유와 핵심 기술 (0) | 2025.03.21 |
---|---|
성북종합레포츠타운 이용 후기 & 위치 시설 프로그램 이용 요금 셔틀 총정리 (2) | 2025.03.20 |
수영 다이어트 효과 & 칼로리 소모와 전신 운동 (0) | 2025.03.17 |
수영 초보자를 위한 기초 배우는 법 & 빠르게 익히는 4가지 팁 (0) | 2025.03.16 |
수영 자유형 호흡 기초 4단계 타이밍 & 숨쉬기 잘하는 방법 (0) | 2025.03.16 |